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 이야기

2025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총정리 해드립니다.

2025년 최저시급 - 똑똑한결

 

안녕하세요. 2021년 최저시급 총정리 3년만에 다시 찾아왔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및 주휴수당에 대해 총정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1988년 최저시급 제도가 시행된지 37년만에 처음으로 1만원을 넘었습니다.

25년도 최저시급으로 월급을 환산할 경우 209만 6270원 입니다. (1주 40시간 근무, 월 209시간 기준)

24년 올해보다 3만5530원 인상된 금액입니다.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 현황(출저 : 최저임금위원회)

 

코로나 19로 가장 힘들었던 2021년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인상률인 1.7% 인상률입니다.

그래도 37년만에 처음으로 1만원을 넘었기 때문에 노사단체에서 이의제기는 없었다고 하네요.

최저시급이 1만원을 넘은 것을 좋은 일이지만 한편으론 인상률이 너무 낮아서 아쉽다는 생각이 드네요.

 

최저임금액보다 적은 금액을 지급할 경우
고용주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주휴수당 - 똑똑한결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급여 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주어진 근무시간을 마친 후 주어진 휴일에 대해 지급되는 급여로
주휴수당 계산법에 따라 계산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은 최저시급 x 8시간으로 계산됩니다.

2025년도 최저시급이 10,030원이므로, 주휴수당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10,030원 x 8시간 = 80,240원

따라서, 2025년에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는 주휴수당으로 80,240원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

주휴수당을 받기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해야 합니다.

2. 근조시간을 맞춘 후 1주일을 기준으로 유급 휴일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예를들어 주 6일 근무, 하루 3시간씩 일하는 경우
주 15시간을 근무하기 때문에 주휴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으로 임금(일급/주급/월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주 소정근로 시간 : 40시간(주 5일, 1일 유급주휴일) 기준

일급(8시간 기준)
10,030원 x 8시간 = 80,240원

주급(주 40시간 기준)
10,030원 x 48시간 = 481,440원

월급(209시간 기준)
10,030원 x 209시간 = 2,096,270원

최저임급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의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1. 동거하는 친족만을 고용하는 사업체

2. 가사근로자와 일부 사립학교 교직원

3. 선원과 선박 소유자(선원법 적용)

4. 정신 또는 지체 장애로 업무수행에 지정을 주는 자(단, 고용 노동부장관의 승인이 필요함)

5. 수습기간중의 근로자도 최저임금액의 10% 감액이 있을 수 있음

6. 청소년 근로자(청소년 최저임금 적용)

7. 일시적 농업, 어업, 임업 근로자

8. 소규모 사업장(5인 이하 사업장 일부 예외)


2025년 최저시급 및 주휴수당 최종 정리

1.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월급 화산 시 2,096,270원 입니다.

2. 최저시급 기준 주휴수당은 80,240원으로,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추가로 지급됩니다.

최저임금 미지급 시에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법적인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최저임금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도 있으며, 각 상황에 맞는 적용 규정이 있으니 별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3년만에 돌아온 2025년 최저시급 및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최저시급 및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자신의 권리에 대한 이해가 높어졌기를 바랍니다.

 

2025년은 경기가 어려워 최저시급 인상률이 낮았지만 그럼에도 최저시급 1만원 시대에 진입했습니다.

다가오는 2025년 경제가 활성화되서 2026년 최저시급 상승율이 높아지길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